프로토콜(Protocol)
정보의 송/수신측 또는 네트워크 내에서 사전에 약속된 규약 또는 규범을 말한다.
예를 들면 IBM사의 PC와 APPLE의 Mac이 서로 통신을 가능하게끔 정해주는 규칙 같은걸 말한다.
프로토콜의 주요 요소
구문(Syntax)
데이터가 어떠한 구조와 순서로 표현되는지를 나타내며 형식(format), 부호화(coding), 신호레벨(signal level) 로 구성
의미(Semantics)
해당 패턴에 대한 해석과, 그 해석에 따른 전송제어, 오류수정 등에 관한 제어정보를 규정
타이밍(Timing)
두 객체간의 통신 속도 조정
A와 B사이에 통신 속도가 다르면 병목현상이 이루어져 데이터 유실이 발생하는데 이를 조정한다.
프로토콜의 구성
프로토콜의 계층화 : 상위계층과 하위계층으로 분리된 계층상에서 인접 계층간의 서비스의 이동
계층적 독립성
상위 계층은 사용자가 통신을 쉽게 이용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역할(EDI, FTP 등)
하위 계층은 실제 통신의 효율적이고 정확한 전송을 담당하는 역할(OSI, SNA, TCP/IP)
프로토콜의 기능
□ 단편화와 재결합(Fragmentation and Reassembly)
메시지(message) : 응용 게층에서 데이터 전송의 논리적인 단위
단편화 : 이 메세지를 연속적인 비트 스트림(bit stream)으로 보내면, 하위 계층에서는 이 데이터를 임의의 작은
블록으로 자르는 과정
메시지 -> 패킷(packet) -> 프레임(Frame) -> 비트 단위로 전송
재결합 : 단편화 된 데이터를 받아 다시 하나로 합치는 기능
□ 연결 제어(Connection Control)
비연결형 데이터 전송(connecttionless data transfer)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개체 간에 논리적인 연결 없이 데이터를 전송
- 데이터 그램(datagram) / UDP
연결형 데이터 전송(connection-oriented data transfer)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개체간에 논리적 연결을 맺은 후 데이터를 전송
- 가상 회선(virtual circuit) / TCP
UDP와 TCP 비교
TCP는 데이터를 주고 받을 양단 간에 먼저 연결을 설정하고 설정된 연결을 통해 양방향으로 데이터를 전송하지만, UDP는 연결을 설정하지 않고 수신자가 데이터를 받을 준비를 확인하는 단계를 거치지 않고 단방향으로 정보를 전송한다.
□ 흐름제어(Flow control)
송수신 개체 간의 데이터양이나 속도를 조절하는 기능이다.
정지-대기(stop-and-wait) 흐름제어 기법
수신측으로부터 확인신호(ACK)를 받기 전에는 송신측에서 데이터를 전송할 수 없게 하는 기법
슬라이딩 윈도우(Sliding Window) 기법
확인신호를 수신하기 전에 데이터의 양을 미리 정해주는 기법
* TCP/IP는 2가지 둘 다 사용한다.
□ 에러제어(Error control)
네트워크 요소의 불완전성으로 데이터나 제어정보가 파손되는 경우 이를 처리하는 기법
- 패리티 검사 코드(Parity Check) 방식, 순환 잉여도 검사(Cyclic Redundancy Check) 방식
□ 동기화(Synchroniztion)
정보를 송수신할 때 초기화 상태, 종료 상태 등의 동작단계를 맞추는 것
□ 순서화(Sequencing)
올바른 순서로 전달되기 위해서 필요한 기능이 순서화 기능이다.
예를 들어 TCP/IP 네트워크에서 TCP 계층의 순서번호(Sequence number)
네트워크 프로토콜의 종류
□ SNA(System Network Architecture)
IBM에서 만든 독자적인 프로토콜
OSI와 동일한 7계층 구조이지만 SNA와 OSI 기본 참조모델은 호환성이 없다.
□ OSI(Open Systems Interconnection)
각 독자적인 프로토콜은 호환이 안되니까 국제 표준화기구(ISO)에서 만든 프로토콜
근데 복잡해서 쓰진 않는데 다른 프로토콜이 이것의 기반이 되었다.
□ TCP/IP(Transmission Control Protocol/INternet Protocol)
미국 국방부에서 개발한 프로토콜이며 TCP와 IP를 조합, 4계층으로 구성한 것으로 현재 인터넷에서 사용됨
표준(Standard)
최적한 사회이익의 증진을 목적으로 해서 과학기술 및 경험의 종합적 결론이나 이해 관계자의 협력과 모든 의견,
대다수의 승인에 의해서 작성된 기술 사양서(technical specification) 또는 그 외의 문서이고
국가, 지역 또는 국제 레벨에서 인정된 단체에 의해서 승인된 것이다.
표준을 제정하는 여러 기관 및 그 표준안을 살펴보면
□ 국제 표준 기구(ISO : International Organization for Standardization)
OSI를 만든 단체
□ 국제 전기 통신 표준화 부문 (ITU, International Telecommunication
Union-Telecommunication Standardization Sector)
전기통신에 관련된 국제협약, 표준제정 등을 목적
□ 미국 국립 표준 기구(ANSI, American National Standards Institute)
미국의 공업규격 표준을 제정하는 비정부 기관
□ 전기전자 공학자 협회(IEEE, Institute of Electrical and Electronics Engineers)
미국전기학회 + 무선학회 가 합병하여 설립된 미국 최대의 학회
기술 논문의 발표와 토의를 위한 회의의 개최, 기관지와 논문지 발간, 표준화 추진,
회원의 전문적인 요구에 응하기 위한 정보 제공
IEEE 802 표준안
IEEE 802.11은 자주 보이고 사용하니까 익숙해지자
Wireless Lan & Wi-Fi(무선랜)
□ 전자산업협회(EIA, Electronic Industries Alliance)
□ IETF(Internet Engineering Task Force)
인터넷의 운영, 관리 및 기술적인 쟁점 등을 해결하는 것을 목적
인터넷의 표준안으로 RFC(Request For Comments)의 재정 담당
RFC(Request For Comments)
인터넷기술과 관련된 공식 기술문서
인터넷 표준, 사양, 프로토콜, 단체들의 통보, 개인적인 의견에 관한 정보를 제공
□ KS/KICS 표준
한국 정보통신 표준
퀴즈
통신을 수행하는 상호 간의 미리 정해진 규약 또는 규범을 의미하는 것은? |
프로토콜,protocol |
ANSI에서 만들어 한 문자를 7비트로 총 128개의 문자를 표현할 수 있는 표준 부호체계 이름은? |
아스키,아스키코드,ASCII |
신호변환장비 중 아날로그 통신회선에 접속하기 위해 변조기와 복조기가 함께 있는 장비는? |
Modem |
IEEE 802 표준안 중 무선랜(Wireless LAN & Wi-Fi)의 번호는? (IEEE 802.XX -->XX에 들어갈 숫자를 아래에 기입) |
11 |
정답
프로토콜의 기능 중 흐름제어에서 수신측으로 부터 확인신호(ACK)를 받기 전에는 송신측에서 데이터를 송신할 수 없게 하는 기법은? |
정지-대기,정지대기,stop-and-wait |
프로토콜의 주요 요소 중 데이터가 어떠한 구조와 순서로 나타내며 형식, 부호화, 신호레벨 등을 가르치는 것은? |
구문,syntax |
2020년도 3학년 2학기 데이터통신(동의대학교 김민영 교수님)
'수업정리 > 데이터통신' 카테고리의 다른 글
3장 전화망의 동작 및 신호방식 (0) | 2020.09.22 |
---|---|
3장 전화망의 구성 (0) | 2020.09.22 |
3장 전화의 역사 (0) | 2020.09.22 |
2장 OSI 참고모델 (0) | 2020.09.20 |
1장 데이터 통신[정의 & 구성요소] (0) | 2020.09.0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