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내 전화기는 사설교환기, 시내 교환기로 연결되는데
사설교환기는 회사, 아파트 이런곳에 전화를 할 때라고 이해하면된다.
시내 중계 교횐기는 KT남부지사
시외 중계 교환기는 경상남도
국제 관문국는 혜화동에 있는 KT
전화망의 진화단계
- 지역에 산재하는 가입자를 하나의 시내 교환기에 수용(A)
- 가입자 수가 일정 수준에 이르면 (B)와 같이 분국 생성
- 분국 생성 후 일부 가입자를 새로운 교환기에 옮김
- 여러 지역에 같은 형태의 교환국이 설치되면 (C)와 같이 교환기 상호간을 중계선으로 연결
- 이후 각 기능이 독립되어 (D)와 같이 중계교환기 설치
- 중계 교환기가 증가되면 (E)와 같이 중계교환기 상호간을 중계선으로 연결
전화망에 사용되는 통신매체
가입자 회선 : 트위스티더 페어
교환기 상호간 : 동축케이블, 마이크로웨이브, 광섬유
교환기 상호간 통신은 디지털 통신
가입자 선로를 제외하고는 거의 모두 디지털 신호를 사용
디지털 전송은 아날로그 전송에 비해 비용이 적게 소요
전화망에 사용되는 시설
전화망의 시설은 전송시설과 교환시설로 구성
전송시설은 가입자 선로, 중계선(trunk) 시설로 구분
교환시설은 시내교환기, 시외교환기, 중계교환기, International Gateway로 구성
광케이블, 동축케이블(TV)
전화망의 시설
가입자 선로
가입자 전화기를 시내 교환국에 연결시키는 전송설비
대부분의 경우 한 쌍의 케이블을 이용하지만 가입자 선로 집선장치나 원격 교환장치 등과 같은 시스템을 적용하는 경우도 있음
시내 중계선
시내 교환국 상호간, 시내 교환국과 시외 교환국을 연결하는 전송설비
케이블, 중계기, 아날로그 및 디지털 반송장치로 구성
동축케이블, 무선, 광섬유 케이블 등을 이용한 대용량 전송장치로 구성되는 경우도 있음
PSTN(공중전화교환망)
엑세스 망, 교환기, 교관기 대 교환기간의 국간망 등 3가지 구성요소로 되어있음
액세스망
가입자 전화에서부터 전화국에 설치된 교환기까지의 구간을 의미
음성신호를 포함하여 다양한 신호를 교환기까지 전달하는 역할을 수행
교환기는 반경 4km 안에 있는 가입자가 존재하는 것을 기본으로 설계
4km가 넘는 가입자들의 경우에는 RSS(Remote Subscriber Switch system)를 사용
RSS는 원거리에 있는 가입자를 수용할 뿐만 아니라 PCM 기술과 함께 사용되어 가입자에서 전화국까지 연결에 필요한 케이블 용량을 획기적으로 줄일 수 있음
시내 교환기(local)
- 가입자와 직접 연결되어 있는 교환기
- “클래스 5 교환기” 또는 “TDM 교환기” 라고도 함
- 시내 교환기는 “call forwarding”과 “call waiting” 같은 서비스를 처리하며 최근에는 거의 대부분의 “call recording”과 과금 처리를 수행
- 시내 전화사업자는 시내 교환기와 중계 교환기를 모두 소유하고 있으며 이들 스위치는 동일한 하드웨어를 갖고 소프트웨어만 다름
- 시내 교환기에 연결된 모든 가입자에게는 7 ~ 8 자리의 번호가 할당
- 상위 3 ~ 4 자리는 시내 교환기의 번호를 의미하며, 하위 4 자리는 각각의 가입자를 나타내는 번호를 의미
- 과거 시내 교환기는 단지 시내통화만 제공하였지만 현재는 시외통화까지 모두 제공
중계 교환기(tamdem)
- 가입자와 직접 연결되지 않고 시내 교환기를 서로 연결해주는 기능을 수행
- “클래스 4 교환기” 또는 “TDM 교환기”라고 불리기도 함
- 과거에는 대부분의 “call recording”과 과금 관련 정보가 중계 교환기에서 처리가 되었으나 현재에는 시내 교환기에서 대부분 처리
- 중계(tandem)라는 의미는 말 그대로 여러 개를 순차적으로 연결한다는 뜻으로 트렁크들을 연속적으로 연결하는 것을 의미
- 중계 교환기는 시내 다른 지역과의 연결을 제공하는 섹터 중계 교환기 (sector tandem switch)와 다른 통신사업자로의 장거리 통화를 제공하기 위한 액세스 중계 교환기(access tandem switch)로 구분
시외 교환기
“trunk exchange” 또는 “transmit switch”라고 불리기도 함
시외 통화 트랜잭션(toll call transaction)을 처리
즉 장거리 통화를 처리하는 교환기
도시의 크기에 따라 하나 이상의 시외 교환기가 위치
전화망의 계층 구성
중심국 이상을 연결하는 중계망은 일반적으로 메쉬형으로 구성
중심국을 관할 구역 내의 통화권 모국에 연결하는 중계망은 경제성을 감안하여 스타형으로 구성
통화량이 많은 인접지역간은 직통회선을 구성하여 통화량을 효율적으로 중계(부산-김해, 부산-창원)
단국(end office)
전화망의 최하위 구계위로서 가입자와 직접 연결되어 있는 교환국을 의미
가입자 수가 적어 한 개의 교환국으로 이루어진 경우를 단국지(single-office area)
가입자 수가 1만 가입자가 넘어서 여러 개의 분국(local office)으로 나누어 이루어진 경우를 복국지(multiple-office area)
한편 분국수가 20~30국 이상의 대규모 시내 전화망에서는 국 사이의 경로 수가 많아지기 때문에 시내 중계교환기능을 제공하는 시내 탠덤국(local tandem office)을 두어 통신망을 운용
집중국(toll center)
중심국 다음의 하위국으로 중심국이 처리하는 영역을 분할하여 처리하는 기능을 수행
단국으로부터의 중계선을 통합하여 단국 상호 간에 교환 접속 기능을 제공
해당 지역 이외의 국에 대한 시외 통화는 상위국에서 교환 접속
중심국(district center)
집중국군의 중심이 되는 계위를 중심국
소속 집중국간의 통화 및 다른 중심국과의 중계교환을 행함
총괄국(regional center)
중심국군의 중심을 총괄국
다단중계의 중추역할을 하는 최상위국
시외 대역제에 있어서 최상위에 위치
기간회선, 바이패스 회선
'수업정리 > 데이터통신' 카테고리의 다른 글
4장 회선 구성 (0) | 2020.09.28 |
---|---|
3장 전화망의 동작 및 신호방식 (0) | 2020.09.22 |
3장 전화의 역사 (0) | 2020.09.22 |
2장 OSI 참고모델 (0) | 2020.09.20 |
1장 데이터 통신[프로토콜 & 표준기구 및 표준안] (0) | 2020.09.0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