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신(Telograph)
현대적 전기 통신의 시초
1837년 Samuel F.B. Morse에 의해 발명
타 지역으로 정보를 전달하기 위한 최초의 장치
모스 부호(Morse Code)
전압에 의해서 짧고, 긴 패턴을 만들어서 알파벳이나 숫자들을 정의하고 원격지 장치 간에 정보를 수신
전화(Telophone)
1876년 3월, Alexander Graham Bell에 의해 발명
초기의 전화망 형태
교환기 없이 전화와 전화 사이를 직접 연결
사용자가 n명이면, n(n-1)/2개의 회선이 필요
메쉬형 구조
최초의 교환기 등장
메쉬형 구조는 연결 비용이 많이 들고, 관리가 어려움
1878년 1월 최초의 교환기 설치
최초에는 하나의 수동 교환기에 모든 전화기가 연결
우리나라 기준으로 1970년대 까지 수동적 교환기 방식으로 사용
자동식 교환기 등장
교환수에 의한 수동
교환방식의 한계 인식
A.B. 스트로우저가 자동교환기를 만들어냄
초기의 전화망 형태
전화기의 증가로 많은 교환기 필요
교환기를 계층적으로 구성
다단계 형태로 발전
북미에서는 5단계를 제안했으나 교환기 시스템 통합으로 3~4단계 계위로 구성
교환기 사이의 통신은 TDM 방식(시분할 방식)을 이용한 디지털 통신 사용 시작
북미의 5단계 구조
북미 공중전화망의 5계층 계위 구성
전화의 역사 정리
- 1960년대 초반, Bell 사는 늘어나는 가입자 수용과 효과적인 제공을 위해 디지털 전송망의 필요성을 느끼기 시작
- 이에 따라 1940년대에 발표된 TDM(Time Division Multiplexing) 기술을 실용화하여 T1방식의 디지털 전송기술을 개발
- 이에 따라 교환국과 가입자 사이에는 아날로그 신호가, 교환국과 교환국 사이에는 디지털 신호를 사용
- 이후 디지털 교환기가 개발되어 현재와 같은 형태의 전화망이 구축
이동통신 1세대 : 아날로그(카폰)
2세대 : CDMA(우리나라), GSM(전세계)
3세대 : WCDMA(시간 까지 동기화)
4세대 : LTE => 아이폰 3GS(2009)가 나와서 더 빠른통신이 필요해서 LTE가 나옴
5세대 : 5G(IMT-2020)
'수업정리 > 데이터통신' 카테고리의 다른 글
3장 전화망의 동작 및 신호방식 (0) | 2020.09.22 |
---|---|
3장 전화망의 구성 (0) | 2020.09.22 |
2장 OSI 참고모델 (0) | 2020.09.20 |
1장 데이터 통신[프로토콜 & 표준기구 및 표준안] (0) | 2020.09.09 |
1장 데이터 통신[정의 & 구성요소] (0) | 2020.09.0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