데이터 통신의 정의
데이터(Data)
임의의 형태로 형식화된 사실이나 개념, 의사, 명령 등을 사람이나 기계에 의한 처리가 적합하도록 숫자, 문자, 기호 등으로 나타낸 것 =>컴퓨터 시스템 관점에서 본다면 0과 1로 이루어진 디지털 2진 형태의 정보 단위
정보(Information)
데이터를 처리 가공한 결과로써 사용자에게 의사결정을 도와주는 의미있는 데이터 => 집합
통신(Communication)
정보제공자(provider)와 정보수요자(consumer)간의 정보 이동 현상, 정보를 주고 받는 것임
멀티미디어 통신 = 음성 +영상
즉, 데이터 통신은 문자, 숫자, 기호 등으로 표현된 정보가 정보 제공자와 수여자 사이에 이동하는 통신
컴퓨터 통신
통신을 행하는 매개체가 컴퓨터 이다.
데이터 전송뿐만 아니라 데이터의 처리까지 포함
문자, 숫자, 기호 등은 ASCII, EBCDIC 등의 코드(code)로 나타내지므로 결국 2진 숫자열로 표시
전송로 상에는 2진 숫자열에 대한 신호가 전송된다.
ASCII (American Standard Code for Information Interchange)
한 문자를 표현하는데 8비트(7비트 정보비트 + 1비트 패리티비트) 사용하여 총 128 문자 표현
Unicode
8비트 문자코드인 ASCII 코드를 16비트로 확장하여 전 세계의 모든 문자를 표현하는 표준코드이다.
EBCDIC(Extended Binary Coded Decimal Interchange Code)
IBM 대형 컴퓨터에 사용하기 위해 개발된 코드로써 총 256개 코드를 표현
ASCII, Unicode 이 2가지를 많이 사용함
데이터 통신의 목표
□ 데이터 전송의 정확성
데이터는 전송 중에 신호 감쇄, 잡음 등에 의해 원래의 형태가 변형될 수 있고, 결과적으로 잘못된 정보가 전송될 수
있다. 전기 공급 불안정이나 부적절한 장비를 사용시에 일어날 수 있다.
기술 : 채널 코딩(channel coding), 에러 제어 코딩(error control coding), 동기 기술, 스위칭 기술, 어드레싱/네이밍 기술, 흐름제어 기술 등이 있다.
□ 데이터 전송의 효율성
획득 정보의 가치가 데이터 전송 장비의 가치보다 작으면 비효율적
기술 : 소스 코딩(source coding), 다중화(multiplexing) 기술
□ 데이터 전송의 안전성
데이터의 내용이 제 3자에게 누출되거나 변형되면 안됨
기술 : 보안 코딩(secrecy coding)
채널 코딩(Channel coding)
전송 데이터에 잉여정보를 추가함으로써 비트 오류율 성능을 개선시키기 위한 과정
- Hamming Code, CRC, Convolutional Code
소스코딩(Source coding)
디지털 형식으로 변환, 압축하는 과정, 소스의 효율성을 높이기 위해 평균 코드 길이가 최소화되도록 한다.
- JPEG, MPEG, PCM 방식과 LZW, ZIP, ARJ 등
보안코딩(Secrecy coding)
전송 데이터 내용에 안전성을 제공하기 위한 과정
- 대칭키 및 비대칭키 암호 알고리즘 등
정보통신의 의미
컴퓨터 정보처리와 통신의 결합
컴퓨터기술, 통신기술, 그리고 컴퓨터 기술과 통신이 결합된 새로운 기술을 포함
<정보통신의 분류>
□ 음성통신
일반적으로 전화망을 이용한 통신, 인터넷 이용한 음성통신 서비스 상용화
- 음성 우편, 3자 통화 등
□ 데이터통신
음성을 제외한 모든 형태의 정보 전송(이미지통신, 영상통신)
- PC를 통한 파일 전송, 전자우편 등
□ 화상(이미지)통신
그림, 도표, 차트, 그래픽 등의 정보전송
- Web
□ 영상통신
단방향 전송방식인 TV방3송
- 영상회의
□ 멀티미디어통신
음성과 데이터 및 화상정보의 통합
- 원격회의, 원격교육 등
데이터 통신의 역사를 보여주는 그림이다.
데이터 통신의 구성요소
데이터 통신 시스템
컴퓨터와 원거리에 있는 터미널 또는 다른 컴퓨터를 통신 회선으로 결합하여 정보를 처리하는 시스템
전송설비, 교환기기, 데이터 단말장치, 회선종단장치 등과 같은 요소 포함
전송매체는 물리적 경로로써 랜선, 광케이블 등이 전송매체가 된다.
데이터 통신 시스템은 데이터 전송계, 데이터 처리계로 구성 된다. 여기서 데이터 전송계를 자세히 살펴보자.
단말장비(Terminal)
초기 단말장비는 더미 터미널이 주종이었지만, 최근에는 하드웨어 기술발달로 정보처리 능력이 있는 단말장비도
사용하고 있다. => 즉, 컴퓨터에서도 이 역할을 할 수 있다.
지금은 터미널이 서버에 접속하는 클라이언트가 될 수 있다.
신호변환장비(Signal Converter)
전송하고자 하는 신호를 전송에 적합한 신호로 변환하기 위해 통신회선종단에 위치하는 장비
- 모뎀(전화), DSU(Digital service unit)/CSU(Channel service unit)
통신제어장치(Communication Control Unit)
전송매체와 중앙처리장치를 결합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장치로, 데이터의 송수신, 전송매체의 연결 설정 및 전송 오류
검사 기능을 수행 => 메인보드에 LAN카드가 들어가있음 / 쉽게 설명하면 전송매체(랜선)와 컴퓨터를 연결해주는 장비
- 전단처리기(FEP)와 후단처리기(BEP) 등
데이터 통신 관련 장비
데이터 단말장비(DTE : Data Terminal Equipment)
데이터 수신 장치, 송신 장치 혹은 송수신 장치로 동작
데이터통신 제어 기능을 갖고 있는 단말장치(Terminal)나 주컴퓨터
=> 더미 터미널은 이제 사용하지 않는다. 그대신 더미 터미널의 역할을 할 수 있는 소프트웨어를 실행시킬 수 있는
컴퓨터를 이용하는 것이다
데이터 통신장비(DCE : Data Communication Equipment)
DTE와 데이터 전송로 사이에서 접속을 설정, 유지, 해제하며, 부호 변환과 신호 변환을 위한 기능 제공
즉, 위에서 설명한 신호변환장비, 통신제어장치가 여기에 속한다.
사용자 DTE와의 상호 접속을 위한 물리적 인터페이스 제공
DTE를 컴퓨터라고 치면 DTE/DCE 인터페이스는 LAN 카드가 되고 DCE는 전용선 모뎀,
전송매체는 광케이블, 케이블TV용 케이블 등이 될 수 있다.
변복조기(MODEM : Modulation DEModulation)
컴퓨터나 단말 등을 전화 회선과 같은 아날로그 통신 회선과 접속하기 위한 장치
D->A, A->D 를 해주는 역할을 한다.
2020년도 3학년 2학기 데이터통신(동의대학교 김민영 교수님)
'수업정리 > 데이터통신' 카테고리의 다른 글
3장 전화망의 동작 및 신호방식 (0) | 2020.09.22 |
---|---|
3장 전화망의 구성 (0) | 2020.09.22 |
3장 전화의 역사 (0) | 2020.09.22 |
2장 OSI 참고모델 (0) | 2020.09.20 |
1장 데이터 통신[프로토콜 & 표준기구 및 표준안] (0) | 2020.09.0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