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REST와 JSON에 대해

    REST와 JSON에 대해

    REST의 등장 배경 HTTP는 GET, POST, PUT, DELETE 등의 다양한 HTTP 메소드를 지원 실제로는 서버가 각 메소드의 기본 설명을 따르지 않아도 프로그램 개발 가능 하지만 저마다 다른 방식으로 개발하면 문제가 될 수 있어 기준이 되는 아키텍처가 필요 REST(Representational State Transfer) 각 자원(Resource)에 대하여 자원의 상태에 대한 정보를 주고받는 개발 방식 자원, 행위, 표현의 형태로 데이터를 주고 받자고 약속을 한 것임 페이로드(payload) : 데이터를 전송할 때, 헤더와 메타데이터, 에러 체크 비트 등과 같은 다양한 요소들을 함께 보내어, 데이터 전송의 효율과 안정성을 높히게 되는데 이 때, 보내고자 하는 데이터 자체를 의미하는 것 ex..

    코딩 테스트를 위한 기술 정리

    보호되어 있는 글입니다.

    백준 7662 이중 우선순위 큐(Heapq)

    https://www.acmicpc.net/problem/7662 7662번: 이중 우선순위 큐 입력 데이터는 표준입력을 사용한다. 입력은 T개의 테스트 데이터로 구성된다. 입력의 첫 번째 줄에는 입력 데이터의 수를 나타내는 정수 T가 주어진다. 각 테스트 데이터의 첫째 줄에는 Q에 적 www.acmicpc.net 문제는 간단하게 데이터를 삽입하고 최대값, 최소값을 삭제 해주면서 데이터를 관리하는 작업이였다. list를 선언하고 list.index, list.remove 등 list 연산을 쓰면 무조껀 시간초과가 나기때문에 최소힙, 최대힙을 사용하여 최소, 최댓값에 대한 처리를 해야겠다고 생각했다. 여기서 유의할점은 단순히 우선순위큐 모듈인 PriorityQueue()을 사용하려고 했지만 최소, 최대를 ..

    백준 16928 뱀과 사다리 게임(BFS)

    https://www.acmicpc.net/problem/16928 16928번: 뱀과 사다리 게임 첫째 줄에 게임판에 있는 사다리의 수 N(1 ≤ N ≤ 15)과 뱀의 수 M(1 ≤ M ≤ 15)이 주어진다. 둘째 줄부터 N개의 줄에는 사다리의 정보를 의미하는 x, y (x < y)가 주어진다. x번 칸에 도착하면, y번 칸으 www.acmicpc.net 뱀과 사다리의 좌표가 주어진 것을 활용하기 위해 list의 in 개념을 이용하려고 했지만 비효율적인 것 같아 Dict의 key, value를 이용해서 접근 하기로 했다. 주사위를 굴려서 1~6을 이동하면서 좌표의 cnt를 기억해두는 dp배열을 하나 만들고 저장하기로 했다. 유의할점은 뱀과 사다리로 이동하는 것은 주사위를 굴리는 것이 아닌 행동이기 때문..

    백준 14500 테트로미노(Brute-Force, DFS)

    백준 14500 테트로미노(Brute-Force, DFS)

    https://www.acmicpc.net/problem/14500 14500번: 테트로미노 폴리오미노란 크기가 1×1인 정사각형을 여러 개 이어서 붙인 도형이며, 다음과 같은 조건을 만족해야 한다. 정사각형은 서로 겹치면 안 된다. 도형은 모두 연결되어 있어야 한다. 정사각형의 변 www.acmicpc.net N x M의 보드에 우리가 알고있는 테트리스 블록을 넣었을 때 최대가 되는 값을 구해주는 것이 문제다. 1. 5가지 블록을 회전, 뒤집기 모두 가능하기 때문에 모든 경우의 수를 따져서 직접 board에 일일이 해보는 Brute-Force 2. DFS 1번 같은 경우가 바로 생각난 풀이법인데 이렇게 하면 풀리겠지만 별로 하고싶은 문제는 아니였다. 그래서 고민을 해본결과 ㅗ형 블록을 제외하면 나머지도..

    2022 Summer Coding 코딩 테스트 후기

    https://programmers.co.kr/competitions/2298 2022 Summer Coding - 여름방학 스타트업 인턴 프로그램 접수 22년 04월 11일 11:00 ~ 05월 04일 17:00 테스트 22년 05월 08일 10:00 ~ 05월 08일 12:00 programmers.co.kr 문제는 총 4문제였으며 프로그래밍 3문제, SQL 1문제 였다. 문제들을 이해하기는 어렵지 않았다. 재미있었던 점은 3문제 모두 구현 문제였다. 2시간에 4문제를 풀어야하기 때문에 어려운 문제가 나오지 않을꺼라는 생각은 안했지만 모두 구현으로 풀 수 있는 문제여서 좀 당황했다. 근데 내가 구현 문제에 매우 약하다는 걸 알아버렸다. 어떤 흐름으로 흘러가는지도 알고 대충 규칙도 보이는데 그것을 구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