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글
Kurento Docker로 설치하기 - Window 환경
1. Docker 설치 Docker: Accelerated, Containerized Application Development Docker is a platform designed to help developers build, share, and run modern applications. We handle the tedious setup, so you can focus on the code. www.docker.com 2. Docker에서 kurento Server를 가져오기 docker pull kurento/kurento-media-server:latest * latest 는 Docker에서 최신 이미지를 가리키는 특별한 태그 3. Kurento Media Server 실행 docker run -..
![[Error][Docker] WSL 2 installation is incomplete.](https://img1.daumcdn.net/thumb/R750x0/?scode=mtistory2&fname=https%3A%2F%2Fblog.kakaocdn.net%2Fdn%2Fb1L4hY%2FbtrVmYfV5PA%2F3Jm59bxPMI0E4xAbHcVTGK%2Fimg.png)
[Error][Docker] WSL 2 installation is incomplete.
1. 파워쉘을 관리자 권한으로 실행 2. 리눅스 서브시스템 활성 명령어 입력 dism.exe /online /enable-feature /featurename:Microsoft-Windows-Subsystem-Linux /all /norestart 3. 가상머신 플랫폼 기능 활성화 명령어 입력 dism.exe /online /enable-feature /featurename:VirtualMachinePlatform /all /norestart 4. x64 머신용 WLS2 Linux 커널 업데이트 패키지 다운로드 및 설치 wslstorestorage.blob.core.windows.net/wslblob/wsl_update_x64.msi 5. 시스템 재시작 후 Docker 구동
![로드 밸런싱(Load Balancing) 이란?](https://img1.daumcdn.net/thumb/R750x0/?scode=mtistory2&fname=https%3A%2F%2Fblog.kakaocdn.net%2Fdn%2Fk6FFv%2FbtrU37QvcBW%2Fa7jto42tAHO2qPaRdvrLe0%2Fimg.png)
로드 밸런싱(Load Balancing) 이란?
로드 밸런싱(Load Balancing) 여러 서버에게 균등하게 트래픽을 분산시켜주는 것 요즘 시대에는 웹사이트에 접속하는 인원이 급격히 늘어나게 되었다. 따라서 이 사람들에 대해 모든 트래픽을 감당하기엔 1대의 서버로는 부족하다. 대응 방안으로 하드웨어의 성능을 올리거나(Scale-up) 여러대의 서버가 나눠서 일하도록 만드는 것(Scale-out)이 있다. 하드웨어 향상 비용이 더욱 비싸기도 하고, 서버가 여러대면 무중단 서비스를 제공하는 환경 구성이 용이하므로 Scale-out이 효과적이다. Load Balancer를 클라이언트와 서버 사이에 두고, 부하가 일어나지 않도록 여러 서버에 분산시켜주는 방식이다. 서비스를 운영하는 사이트의 규모에 따라 웹 서버를 추가로 증설하면서 로드 밸런서로 관리해주면..
![TLS/SSL에 대해](https://img1.daumcdn.net/thumb/R750x0/?scode=mtistory2&fname=https%3A%2F%2Fblog.kakaocdn.net%2Fdn%2FMxeWt%2FbtrU3azMI0h%2FgCZSdMsx75DzxUche34110%2Fimg.jpg)
TLS/SSL에 대해
TLS(Transport Layer Security) HTTPS에서 클라이언트와 서버간 통신 전 SSL 인증서로 신뢰성 여부를 판단하기 위해 연결하는 방식 과거에는 SSL(Secure Sockets Layer)라고 불렸던 프로토콜인데 버전이 올라가면서 이름이 바뀜 인터넷 같이 TCP/IP 네트워크를 사용하는 통신에 적용되며, 통신 과정에서 전송계층 종단간 보안과 데이터 무결성을 확보 클라이언트와 서버가 통신할 때 SSL/TLS를 통해 제3자가 메시지를 도청하거나 변조하지 못하도록 한다 TCP/IP 네트워크를 사용하는 곳에서 동작하는 프로토콜이기 때문에 전송계층(Transport Layer)에서 동작 AWS에서도 SSL 인증서를 발급하고 HTTPS에 적용하는 과정을 해본적이 있을 것이다 데이터 자체를 암호..
[SpringBoot] 빌드 및 배포
배포한다는 것 자체가 spring 프로젝트를 .jar로 리턴하는 용도이다 ./gradlew build cd build/libs java -jar hello-spring-0.0.1-SNAPSHOT.jar ./gradlew clean build 하면 완전히 다시 지우고 빌드함 .jar를 가지고 서버(AWS)에 ftp를 통해 파일시스템 툴을 이용해서 서버파일(jar)를 넘겨주고 서버 안에서 실행을 시키는 작업이 필요한데 이러한 과정을 테스트과정에서 반복적으로 수행한다는 것은 큰 수고가 드는 일이다. 따라서 이러한 경우 때문에 CI/CD라는 개념이 나온 것인데 유명하게 Jenkins, Gitlab CI/CD를 사용한다 이러면 자동적으로 서버에 배포하는 과정을 자동화해주기 때문에 개발자가 편리하게 작업을 할 수 ..
![[SpringBoot] 구동 속도 향상 시키기](https://img1.daumcdn.net/thumb/R750x0/?scode=mtistory2&fname=https%3A%2F%2Fblog.kakaocdn.net%2Fdn%2FeBOgmw%2FbtrUJjyaYlU%2Fkv52n9LZUzswCIcDEVor80%2Fimg.png)
[SpringBoot] 구동 속도 향상 시키기
최근의 IntelliJ 버전의 경우 프로젝트를 구동시키면 Gradle로 실행 시키는 것이 기본적으로 세팅되어 있다. 이렇게 실행했을 때, 실행속도는 굉장히 느림을 확인할 수 있다. 하지만 아래와 같이 설정을 바꿔주면 java로 실행을 하게 되는데 이렇게하면 실행이 빨라진다. Preferences -> Build, Execution, Deployment -> Build Tools-> Gradle IntelliJ Help > Edit Custom VM Options... IntelliJ IDEA.app.vmoptions 파일 내 메모리 사이즈 높이기 -Xms1024m -Xmx4096m
![[IntelliJ] IntelliJ Lombok 설치 및 설정](https://img1.daumcdn.net/thumb/R750x0/?scode=mtistory2&fname=https%3A%2F%2Fblog.kakaocdn.net%2Fdn%2FDPKV3%2FbtrUGHM1zIz%2FH0hs60Yrir0WLebdJiAtfK%2Fimg.png)
[IntelliJ] IntelliJ Lombok 설치 및 설정
▶ 1. maven - pom.xml org.projectlombok lombok 1.18.12 provided ▶ 2. gradle // https://mvnrepository.com/artifact/org.projectlombok/lombok provided group: 'org.projectlombok', name: 'lombok', version: '1.18.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