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ariadb.org/ 에 접속하고 다운로드를 누르면 아래와 같이 실행되는데 각 버전에 맞게 다운로드하면 된다.
설치하면 Client인 HeidiSQL도 자동 설치된다.
오라클과 비교하면 오라클은 오라클 설치하고 SQL Developer를 설치해줘야 했지만
MariaDB는 Client까지 자동 설치가 된다.
오라클은 자동적으로 시스템 변수 Path에 경로를 추가해줬지만 MariaDB는 따로 추가해줘야 한다.
원활한 접속을 위해 시스템 변수 path에 아래의 경로 추가
C:\Program Files\MariaDB 10.5\bin 처럼 MariaDB를 설치한 경로를 시스템 변수 path에 넣어줘야 한다.
cmd 창에서 접속하는 경우
접속방법 : mysql –u root –p
사용자 계정의 대소문자 구분(cf. 오라클은 대소문자 구분 없음)
-u는 유저ID, -p는 패스워드를 물어보겠다는 것이다.
이런 식으로 cmd창에서 MariaDB 접속을 할 수 있다.
employees db 생성
각자의 맞는 드라이브에 샘플 데이터베이스를 위치시키고 cmd창에서
MariaDB를 실행시키고 폴더 안에 있는 employees.sql문을 실행시키면 SQL문이 자동적으로 실행되면서
데이터베이스가 만들어진다.
MariaDB Prompt]] source D:\EMP\employees.sql
이 명령문의 의미는 root계정으로 들어간 다음에 root계정에서 EMP 데이터베이스를 만들어준 것이다.
HeidiSQL로 접속하는 경우
Client를 실행시키고 신규를 눌러서 세션을 만든다.
세션을 만들고 저장을 눌러서 열기에 들어가면 DBMS에 들어가지게 된다.
상단메뉴 도구-사용자 관리자에 들어가면 각각 사용자마다 접근 허용. 즉 권한도 부여 할 수 있다.
데이터베이스 만들기는 위에처럼 만들면 된다.
Question) 영상에서 MariaDB 사용자를 로컬-HMART로 들어갔는데 ROOT에 있는 데이터베이스랑 연동이 되던데
로컬-HMART 사용자와 ROOT 데이터베이스와의 관계는 어떻게 설정했길래 연동이 된거지?
Answer) 로컬-HMART의 권한을 많이 주었기 때문에 ROOT의 데이터베이스가 보인다는 것이다.
여기서 중요한 것은 로컬-HMART라는 다른 세션에서 ROOT에 접근을 했는데 연동이 가능하다는 것이다.
오라클에선 계정 1개당 Database이기 때문에 이런 부분이 불가능하다.
'Backend > Database' 카테고리의 다른 글
오라클 외래키 관련 작업 (0) | 2020.09.17 |
---|---|
오라클 데이터 타입 & BLOB, CLOB 활용 (0) | 2020.09.17 |
MariaDB 구축 (0) | 2020.09.17 |
오라클 DB 구축 (0) | 2020.09.17 |
오라클(Oracle) 설치 & 기초 스키마 (0) | 2020.09.0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