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컬-Root를 선택한 후 도구-사용자 관리자에 들어가서 새로운 사용자를 만들어준다.
추가를 눌러 새로운 사용자 계정을 만들고 접근허용에서 첫번째 처럼 네모박스를 한번 더 눌러주면 체크 표시로 바뀌면서 전체 권한을 할 수 있게 된다.
오라클과 비슷한 형태라고 보면된다. system에 해당하는 root에서 사용자 계정을 만들어준다음에
세션을 만들어서 그 사용자로 접속을 한 후 그 안에서 데이터베이스를 만드는 것이다.
오라클과의 차이점은 한 사용자가 들어간 세션안에 MariaDB는 여러개의 데이터베이스를 만들 수 있다는 것이다.
신규를 눌러서 새로운 세션을 만들고 아까 만들어준 사용자로 들어가면 된다.
DROP DATABASE IF EXISTS HMart; -- 만약 HMartDB가 존재하면 우선 삭제한다.
CREATE DATABASE HMart;
USE HMart; -- DB이름이 HMart라도 사용자 HMart와는 별개
sql명령어로 데이터베이스를 만들어준다.
/* SQL 오류 (1366): Incorrect string value: '\xEC\xA0\x95\xEC\x86\x8C...' for column `hmart`.`고객`.`고객이름` at row 1 */
라는 오류가 뜰 수 있는데 이것은 입력하는 테이블에 한글호환이 안되서 그런거니까 utf8로 바꿔주면 된다.
데이터베이스 전체의 타입을 바꿔준다.
테이블 안에 있는 column(열) 마다 타입을 다르게 할 수 있다.
'Backend > Database' 카테고리의 다른 글
오라클 외래키 관련 작업 (0) | 2020.09.17 |
---|---|
오라클 데이터 타입 & BLOB, CLOB 활용 (0) | 2020.09.17 |
오라클 DB 구축 (0) | 2020.09.17 |
MariaDB 설치 & CMD 창 접속 (0) | 2020.09.08 |
오라클(Oracle) 설치 & 기초 스키마 (0) | 2020.09.0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