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TE - DCE 인터페이스
DTE(Data Terminal Equipment)
정보 처리 장치 또는 데이터 터미널 장비
DCE(Data Circuit-terminating Equipment)
DTE와 전송 매체 사이에 데이터 전송을 담당
EIA-232
PC <==> 모뎀, 공장에서 사용(노이즈제거)
기계적 특성
DTE와 DCE간에 25개의 선으로 연결해야 하나 실제 응용에는 적은 수의 선을 이용
25핀, 9핀 있음
전기적특성
수신 : -3V 이하이면 1, +3V 이상이면 0
송신 : -12V 이하이면 1, +12V 이상이면 0
수신/송신이 서로 다르다. 전송중 전압강하 + 잡음을 막기위해
기능적특성
25핀 => 4핀만 사용
9핀=> 2핀만 사용
절차적특성
예비 동작 단계 => 전송준비 단계 => 물리적 연결 단계 => 데이터 전송 단계 => 연결 해지 단계
Null 모뎀
두 대의 컴퓨터를 모뎀 없이 케이블로 연결
15m 거리 이내에서 20Kbps로 데이터 전송
거리가 가까워지면 전송 속도 증가
고속 인터페이스
EIA-449
잘 안씀, USB가 더 좋아서
기계적 특성
EIA-449는 37핀 커넥터(DB-37) 하나와 9핀 커넥터(DB-9)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46핀 사용
전기적 특성
- 불균형방식
통신속도가 늦고 통신거리가 짧으나 비용이 절감
- 균형방식
불균형방식보다 데이터 전송률이 더 높음
기능적 특성
EIA-232와 호환성을 유지하기 위한 37핀 커넥터
EIA-232에 없거나 재정의 하기 위해 사용되는 9핀 커넥터
EIA-530
25핀 커넥터 사용을 늘리기 위한 EIA-449의 변형
RS-422와 RS-423을 참조 하여 전기적 특성 구현
100미터 거리 이상에서 2Mbps이상의 데이터 전송률을 제공
X.21
데이터의 송수신을 위한 전이중 동기 전송 프로토콜
V.35
6Mbps의 높은 전송속도 지원
케이블의 최대 길이는 60미터
34핀 커넥터 사용
HSSI(High-Speed Serial Interface)
근거리통신망상의 장비들을 광역통신망의 고속 회선에 연결하는데 사용되는 단거리 통신 인터페이스
25미터 내에서 최고 52Mbps의 속도를 지원
재해복구 등의 활용 분야에도 사용
OSI 표준 모델 네트워크의 물리계층에서 운영되며 50핀 커넥터를 사용
USB(Universal Serial Bus)
범용 직렬 버스로 주변장치와 컴퓨터를 연결해 주는
다중 스타형의 구조
특성
주변기기의 설치가 간단하다.
전송속도가 빠르다.
주변기기를 여러 대 물릴 수 있다.
핫 플러깅이 가능하다.
속도
USB 1.0: 12Mbps/sec
USB 2.0: 480Mbps/sec
USB 3.0: 5Gbps/sec, 상하 구분 없음
IEEE 1394
구조
물리 계층 : 디바이스와 케이블 사이에 전기적, 기계적으로 연결
링크 계층 : 두 가지 패킷을 송수신하기 위해 두 개의 송신 FIFO와 한 개의
수신 FIFO 사용
전송 계층 : 비동기 프로토콜의 read, write, lock 기능
특징
직렬 전송 버스
빠른 전송속도
뛰어난 쌍방향 통신
Thin cable 사용
HIPPI(High Performance Parallel Interface)
기가비트 속도를 제공하는 슈퍼컴퓨터의 애플리케이션용으로 개발
사용 가능한 대역폭 모두 사용
Twisted Pair 케이블을 이용하여 32비트나 64비트 병렬 채널 제공
'수업정리 > 데이터통신' 카테고리의 다른 글
9장. 전송효율화기술 (0) | 2020.11.11 |
---|---|
8장. 전송매체 (0) | 2020.11.05 |
6장 신호변환과 신호변환기 (0) | 2020.10.22 |
5장 신호 (0) | 2020.10.13 |
4장 토폴로지 & 네트워크 (0) | 2020.10.1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