땅지원
땅지원's Personal blog
땅지원
전체 방문자
오늘
어제
  • 전체 (353)
    • Frontend (2)
      • React (2)
    • Backend (90)
      • Java (16)
      • Python (19)
      • Spring (23)
      • Database (21)
      • Troubleshooting (8)
    • DevOps (27)
      • ELK (13)
    • CS (40)
    • OS (2)
      • Linux (2)
    • Algorithm (95)
      • concept (18)
      • Algorithm Problem (77)
    • 인공지능 (25)
      • 인공지능 (12)
      • 연구노트 (13)
    • 수업정리 (35)
      • 임베디드 시스템 (10)
      • 데이터통신 (17)
      • Linux (8)
    • 한국정보통신학회 (5)
      • 학술대회 (4)
      • 논문지 (1)
    • 수상기록 (8)
      • 수상기록 (6)
      • 특허 (2)
    • 삼성 청년 SW 아카데미 (6)
    • 42seoul (12)
    • Toy project (3)
    • 땅's 낙서장 (2)

블로그 메뉴

  • 홈
  • 태그
  • 방명록

공지사항

  • 20.11.6 BB21플러스 온라인 학술대회
  • 20.10.30 한국정보통신학회 온라인 학술대회

인기 글

태그

  • E
  • 이것이 리눅스다 with Rocky Linux9
  • ㅗ
  • I
  • D

최근 댓글

최근 글

티스토리

hELLO · Designed By 정상우.
땅지원

땅지원's Personal blog

WSL1을 WSL2로 업데이트 하는 방법
CS

WSL1을 WSL2로 업데이트 하는 방법

2023. 1. 5. 17:12

wsl 1을 wsl 2로 업데이트를 하고

이미 설치가 되어 있는 ubuntu18.04를 wsl 버전 2로 업데이트를 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1. Linux용 Windows 하위 시스템 사용

PowerShell 관리자 권한으로 실행 후 해당 명령어를 이용해서 하위 시스템 관리 도구 설치

dism.exe /online /enable-feature /featurename:Microsoft-Windows-Subsystem-Linux /all /norestart

 

2. Virtual Machine 기능 사용

PowerShell에서 Virtual Machine 플랫폼 옵션 기능 사용 설정 후 컴퓨터 재시작

dism.exe /online /enable-feature /featurename:VirtualMachinePlatform /all /norestart

 

3. Linux 커널 업데이트 패키지 다운로드

docs.microsoft.com/ko-kr/windows/wsl/install-win10#step-4---download-the-linux-kernel-update-package

 

x64 머신용 최신 WSL2 Linux 커널 업데이트 패키지를 다운로드한다

 

4. WSL 2를 기본 버전으로 설정

wsl --set-default-version 2

 

5. 기존의 설치한 ubuntu18.04 리눅스를 WSL2로 업데이트

WSL2가 설치되었지만 이전에 설치된 ubuntu18.04는 아직 WSL1로 설정이 되어 있다

wsl --list --verbose

 

해당 리눅스의 WSL2 버전으로 변경하려면 해당 커맨드를 입력하고 조금 기다리면 된다

wsl --set-version <distribution name> <versionNumber>

wsl --set-version Ubuntu-18.04 2
wsl --set-version Ubuntu-18.04 2

 

 

 

* 추가로 우분투에서 도커를 사용하려면?

'CS' 카테고리의 다른 글

[CS]가상 메모리, 페이징과 세그멘테이션에 대해  (0) 2023.01.07
Kurento와 Openvidu에 대해  (0) 2023.01.06
Kurento Docker로 설치하기 - Window 환경  (0) 2023.01.05
[AWS]GitLab CI/CD 이용해서 Springboot 배포하기  (0) 2023.01.03
로드 밸런싱(Load Balancing) 이란?  (0) 2022.12.31
    'CS' 카테고리의 다른 글
    • [CS]가상 메모리, 페이징과 세그멘테이션에 대해
    • Kurento와 Openvidu에 대해
    • Kurento Docker로 설치하기 - Window 환경
    • [AWS]GitLab CI/CD 이용해서 Springboot 배포하기
    땅지원
    땅지원
    신입 개발자의 우당탕탕 기술 블로그

    티스토리툴바